언론과 CTMS

언론과 CTMS

/소식/언론과 CTMS
한국, 흑사병 때보다 인구 감소 심각[조선일보 | 2023년 12월 04일]원문 읽기 (https://www.chosun.com/national/welfare-medical/2023/12/04/M5T2CP37GRC4VGWLFAZRVVCSDA/)미국 뉴욕타임스(NYT)의 로스 다우댓 칼럼니스트는 2일(현지 시각) ‘한국은 소멸하나’라는 제목의 칼럼을 실었다. 그는 “한국이 현재 출산율을 유지한다면 흑사병(Black Death)이 강타했던 중세 유럽 시기보다 더 큰 폭의 인구 감소를 겪게 될 것”이라며 “한국은 선진국들이 안고 있는 인구 감소 문제에서 대표적인 연구 대상”이라고 했다. 한국의 저출생 문제를 역사상 최악의 감염병으로 꼽히는 ‘중세 흑사병’에 빗댄 것이다.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9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3분기 합계출산율(여성 1명의 평생 출생아 수)은 0.7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작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최하위권이다. 한국의 1960∼2021년 합계출산율 감소율도 86.4%로 217개 국가·지역 중 가장 심각했다.다우댓은 “이런 수준(출산율 0.7명)을 유지하는 국가는 한 세대의 200명 인구(부부 100쌍)가 다음 세대에는 70명으로 줄어든다는 것”이라며 “이는 14세기 흑사병이 유럽에 가져온 인구 감소보다 더 빠른 것”이라고 했다. 학계는 당시 흑사병으로 유럽 인구의 최대 절반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정한다. 그는 “(출산율 0.7명으로) 두 세대가 지나면 200명이던 인구는 25명 이하로 떨어진다”며 “(스릴러 작가인) 스티븐 킹의 소설 ‘스탠드’에 나오는 가상의 수퍼 독감으로 인한 인구 감소 수준”이라고 했다.전문가들은 ‘초저출생’ 충격이 곧 한국 사회 전반을 강타할 것으로 우려한다. 실제 내년 초등학교 입학생(2017년생)은 사상 처음으로 40만명을 밑돌 것으로 추산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40만6243명이던 출생아 수는 2017년 35만7771명으로 5만명 가까이 줄었다. 초등학교 입학생은 2004년 65만여 명이었는데, 20년 만에 40% 넘게 줄어드는 것이다. 올해 신입생을 한 명도 받지 못한 초등학교는 전국에 145곳에 이른다. 전년(114곳)보다 27% 증가했다. 내년 유치원 입학생도 사상 처음으로 20만명대로 추락할 것으로 보인다.
기사
코로나 ‘격차세대’가 맞닥뜨릴 비극[주간조선 | 2022년 04월 19일]원문 읽기 (https://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40)흔히 ‘코로나세대’라고 불리는 10대 이하 아동·청소년들은 ‘격차세대’라고 부를 수 있다.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후 아동·청소년에게서 가장 두드러지는 현상은 ‘격차’이기 때문이다.학력 격차는 상당히 많이 언급된 문제다. 최근 이은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선임연구위원이 2017~2019년과 2020년 중·고등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비교해 보고서를 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2020년의 학업성취도 수준은 이전보다 낮아졌는데 눈에 띄는 것은 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이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학생들의 수준을 우수, 보통, 기초, 기초미달로 나누는데 이 중 기초와 기초미달 수준에 있는 학생이 2020년에 확연히 많아졌다. 그런데 격차세대의 문제는 학력 격차만이 아니다. 그보다 더 근본적인 부분에서 광범위하게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일상격차에서 시작하는 격차A씨의 집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한 좁은 골목길에 있었다. 59㎡(약 18평)의 좁은 다가구주택에는 방이 2개 있어 A씨와 14살 난 아들이 한 방을 쓰고, 다른 방을 A씨의 부인과 10살 난 딸이 쓴다. A씨는 점심 무렵 출근해 밤 늦은 시간에 귀가하는 자영업자다. A씨의 부인은 결혼 전 작은 회사에서 일하다가 아들을 낳고 일을 그만뒀다. 그러다 2년 전 보이스피싱 범죄에 당하고 난 뒤 피해 금액을 메우기 위해 인근 마트에서 계산원으로 일하기 시작했다.코로나19가 발생하고 난 뒤 A씨 자녀들은 “내내 방치되었던 상태”라고 한다. 맨 처음에는 온라인 수업용 컴퓨터가 부족해 문제였다. 이후에는 수업을 들을 만한 장소가 마땅치 않았다. 아들은 오전 시간 휴식을 취해야 하는 아버지를 피해 거실에 자리 잡고 온라인 수업을 들었지만 왔다 갔다 하는 가족들 때문에 수업에 제대로 집중하지 못했다.B씨네 집은 전혀 다른 환경을 갖추고 있다. 지은 지 5년이 되지 않는 서울 마포구의 신축 아파트에 사는 B씨네 가족은 115㎡(약 34평)의 집에 서재를 갖추고 있었다. B씨의 15살 난 딸은 매일 서재에서 온라인 수업을 들었다. 맞벌이를 하는 B씨 부부를 대신해 할머니가 낮 시간 동안 집에 방문해 딸의 끼니를 챙겨주고 수업 듣는 것을 도왔다.격차세대의 격차는 A씨와 B씨 가족처럼 물리적인 환경에서부터 발생한다. A씨 자녀와 B씨 자녀는 지난 2년간 계속되어 온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환경이 확연히 달랐다. B씨 자녀는 수업에 집중하기 쉬울 뿐 아니라 공부를 보조해줄 보호자도 곁에 있었다.이 차이는 일상의 격차를 만들어낸다. 격차세대의 근본적인 문제는 일상격차에 있는데, 이를테면 C씨와 D씨의 자녀는 또래지만 지난 2년간 겪은 활동의 수준이 완전히 다르다.남편과 이혼하고 혼자 아이를 기르는 C씨는 만 나이로 4살이 갓 된 아들을 종일 어린이집에 보낸다. 토요일에도 아들은 어린이집에서 시간을 보내야 한다. C씨가 일을 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C씨는 아들과 나들이를 가본 기억이 거의 없다. 확진되면 수입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C씨는 감염될 가능성을 낮추느라 아들과 하루 있는 휴일에도 주로 집에서 시간을 보냈다.같은 나이의 D씨 아들은 조금 다르다. 외조부모가 근처에 살아 보살핌을 받을 수 있었던 D씨 아들은, 어린이집을 다니는 동시에 영유아를 위한 방문 수업도 계속 받았다. 집에서도 다양한 도구로 미술 수업을 듣고, 신체활동 기구까지 챙겨 오는 체육교사를 만나 부족한 활동량도 채웠다. 거리두기 단계가 완화되는 시점에는 제주도며 강원도 강릉 같은 곳으로 여행도 다녀왔다.활동수준의 격차는 코로나19로 제한된 환경에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났다. 성인의 경우 활동수준 차이는 본인의 선택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아동·청소년, 즉 격차세대의 활동수준은 양육자에 달려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아동·청소년은 발달을 위해 활동이 다양하고 많아야 한다. 일상생활 속 활동수준의 격차는 결국 발달의 문제로 이어진다.또래와 못 만나고 고립되는 아이들규칙적인 생활 역시 마찬가지다. 규칙적인 생활이 가능한지를 두고 격차는 크게 벌어졌다. 예를 들어 A씨의 자녀들은 온라인 수업을 듣는 동안 아침에 일어난 적이 별로 없다. A씨가 늦은 아침을 시작하는 것을 따라 A씨 자녀들도 느지막하게 기상하는 버릇이 들었다. 그마저도 매일 기상 시간이 달라졌다.B씨의 딸은 코로나19...
기사
한국, 흑사병 때보다 인구 감소 심각[조선일보 | 2023년 12월 04일]원문 읽기 (https://www.chosun.com/national/welfare-medical/2023/12/04/M5T2CP37GRC4VGWLFAZRVVCSDA/)미국 뉴욕타임스(NYT)의 로스 다우댓 칼럼니스트는 2일(현지 시각) ‘한국은 소멸하나’라는 제목의 칼럼을 실었다. 그는 “한국이 현재 출산율을 유지한다면 흑사병(Black Death)이 강타했던 중세 유럽 시기보다 더 큰 폭의 인구 감소를 겪게 될 것”이라며 “한국은 선진국들이 안고 있는 인구 감소 문제에서 대표적인 연구 대상”이라고 했다. 한국의 저출생 문제를 역사상 최악의 감염병으로 꼽히는 ‘중세 흑사병’에 빗댄 것이다.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9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3분기 합계출산율(여성 1명의 평생 출생아 수)은 0.7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작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최하위권이다. 한국의 1960∼2021년 합계출산율 감소율도 86.4%로 217개 국가·지역 중 가장 심각했다.다우댓은 “이런 수준(출산율 0.7명)을 유지하는 국가는 한 세대의 200명 인구(부부 100쌍)가 다음 세대에는 70명으로 줄어든다는 것”이라며 “이는 14세기 흑사병이 유럽에 가져온 인구 감소보다 더 빠른 것”이라고 했다. 학계는 당시 흑사병으로 유럽 인구의 최대 절반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정한다. 그는 “(출산율 0.7명으로) 두 세대가 지나면 200명이던 인구는 25명 이하로 떨어진다”며 “(스릴러 작가인) 스티븐 킹의 소설 ‘스탠드’에 나오는 가상의 수퍼 독감으로 인한 인구 감소 수준”이라고 했다.전문가들은 ‘초저출생’ 충격이 곧 한국 사회 전반을 강타할 것으로 우려한다. 실제 내년 초등학교 입학생(2017년생)은 사상 처음으로 40만명을 밑돌 것으로 추산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40만6243명이던 출생아 수는 2017년 35만7771명으로 5만명 가까이 줄었다. 초등학교 입학생은 2004년 65만여 명이었는데, 20년 만에 40% 넘게 줄어드는 것이다. 올해 신입생을 한 명도 받지 못한 초등학교는 전국에 145곳에 이른다. 전년(114곳)보다 27% 증가했다. 내년 유치원 입학생도 사상 처음으로 20만명대로 추락할 것으로 보인다.
기사
코로나 ‘격차세대’가 맞닥뜨릴 비극[주간조선 | 2022년 04월 19일]원문 읽기 (https://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40)흔히 ‘코로나세대’라고 불리는 10대 이하 아동·청소년들은 ‘격차세대’라고 부를 수 있다.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후 아동·청소년에게서 가장 두드러지는 현상은 ‘격차’이기 때문이다.학력 격차는 상당히 많이 언급된 문제다. 최근 이은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선임연구위원이 2017~2019년과 2020년 중·고등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비교해 보고서를 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2020년의 학업성취도 수준은 이전보다 낮아졌는데 눈에 띄는 것은 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이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학생들의 수준을 우수, 보통, 기초, 기초미달로 나누는데 이 중 기초와 기초미달 수준에 있는 학생이 2020년에 확연히 많아졌다. 그런데 격차세대의 문제는 학력 격차만이 아니다. 그보다 더 근본적인 부분에서 광범위하게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일상격차에서 시작하는 격차A씨의 집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한 좁은 골목길에 있었다. 59㎡(약 18평)의 좁은 다가구주택에는 방이 2개 있어 A씨와 14살 난 아들이 한 방을 쓰고, 다른 방을 A씨의 부인과 10살 난 딸이 쓴다. A씨는 점심 무렵 출근해 밤 늦은 시간에 귀가하는 자영업자다. A씨의 부인은 결혼 전 작은 회사에서 일하다가 아들을 낳고 일을 그만뒀다. 그러다 2년 전 보이스피싱 범죄에 당하고 난 뒤 피해 금액을 메우기 위해 인근 마트에서 계산원으로 일하기 시작했다.코로나19가 발생하고 난 뒤 A씨 자녀들은 “내내 방치되었던 상태”라고 한다. 맨 처음에는 온라인 수업용 컴퓨터가 부족해 문제였다. 이후에는 수업을 들을 만한 장소가 마땅치 않았다. 아들은 오전 시간 휴식을 취해야 하는 아버지를 피해 거실에 자리 잡고 온라인 수업을 들었지만 왔다 갔다 하는 가족들 때문에 수업에 제대로 집중하지 못했다.B씨네 집은 전혀 다른 환경을 갖추고 있다. 지은 지 5년이 되지 않는 서울 마포구의 신축 아파트에 사는 B씨네 가족은 115㎡(약 34평)의 집에 서재를 갖추고 있었다. B씨의 15살 난 딸은 매일 서재에서 온라인 수업을 들었다. 맞벌이를 하는 B씨 부부를 대신해 할머니가 낮 시간 동안 집에 방문해 딸의 끼니를 챙겨주고 수업 듣는 것을 도왔다.격차세대의 격차는 A씨와 B씨 가족처럼 물리적인 환경에서부터 발생한다. A씨 자녀와 B씨 자녀는 지난 2년간 계속되어 온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환경이 확연히 달랐다. B씨 자녀는 수업에 집중하기 쉬울 뿐 아니라 공부를 보조해줄 보호자도 곁에 있었다.이 차이는 일상의 격차를 만들어낸다. 격차세대의 근본적인 문제는 일상격차에 있는데, 이를테면 C씨와 D씨의 자녀는 또래지만 지난 2년간 겪은 활동의 수준이 완전히 다르다.남편과 이혼하고 혼자 아이를 기르는 C씨는 만 나이로 4살이 갓 된 아들을 종일 어린이집에 보낸다. 토요일에도 아들은 어린이집에서 시간을 보내야 한다. C씨가 일을 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C씨는 아들과 나들이를 가본 기억이 거의 없다. 확진되면 수입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C씨는 감염될 가능성을 낮추느라 아들과 하루 있는 휴일에도 주로 집에서 시간을 보냈다.같은 나이의 D씨 아들은 조금 다르다. 외조부모가 근처에 살아 보살핌을 받을 수 있었던 D씨 아들은, 어린이집을 다니는 동시에 영유아를 위한 방문 수업도 계속 받았다. 집에서도 다양한 도구로 미술 수업을 듣고, 신체활동 기구까지 챙겨 오는 체육교사를 만나 부족한 활동량도 채웠다. 거리두기 단계가 완화되는 시점에는 제주도며 강원도 강릉 같은 곳으로 여행도 다녀왔다.활동수준의 격차는 코로나19로 제한된 환경에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났다. 성인의 경우 활동수준 차이는 본인의 선택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아동·청소년, 즉 격차세대의 활동수준은 양육자에 달려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아동·청소년은 발달을 위해 활동이 다양하고 많아야 한다. 일상생활 속 활동수준의 격차는 결국 발달의 문제로 이어진다.또래와 못 만나고 고립되는 아이들규칙적인 생활 역시 마찬가지다. 규칙적인 생활이 가능한지를 두고 격차는 크게 벌어졌다. 예를 들어 A씨의 자녀들은 온라인 수업을 듣는 동안 아침에 일어난 적이 별로 없다. A씨가 늦은 아침을 시작하는 것을 따라 A씨 자녀들도 느지막하게 기상하는 버릇이 들었다. 그마저도 매일 기상 시간이 달라졌다.B씨의 딸은 코로나19...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