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검색 ...
센터소개
환영사
연혁
구성원
연구원
인턴
운영위원회
자문위원회
Alumni
오시는 길
소식
CTMS 소식
언론과 CTMS
뉴스레터
연구
포용사회와 돌봄
국제이주와 통합
젠더평등과 변화
자료
학술자료
CTMS 브리프
데이터
유용한 링크
활동
세미나
컨퍼런스
대외협력
블로그
English
학술자료
ctms
2021-12-08T17:04:47+09:00
학술자료
학술자료
홈
/
자료
/
학술자료
전체
보고서
학술논문
발표
코로나19시기 한국사회 이주여성의 삶을 살펴보다
2022년 3월 현재 코로나19는 초기의 충격과 피해와는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어가는 양상이다. 이 묶음집은 2020년 코로나19가 시작되던 시기 한국사회에서 이주민, 특히 이주여성들이 겪은 어려움과 실태를 정리한 내용을 4회에 걸쳐 담은 내용의 종합본이다. 마스크 구입대란에서부터 재난지원금에서 배제되었던 실상(1회), 돌봄위기와 더불어 동포 이주여성들이 겪은 어려움(2회), 상대적으로 지원을 받으리라 기대되었던 결혼이주여성들이 처한 또다른 측면의 실상(3회), 난민이나 미등록 이주여성들이 경험한 코로나19의 위기(4회)를 다루었다. 작성자: 문현아, 허오영숙원문언어: 한글발행일: 2022. 03
보고서
ㆍ
코로나19와 한국의 아동돌봄 설문조사 관련 자료
코로나19와 한국의 아동돌봄 설문조사 관련 자료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각 가정의 돌봄 부담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특히, 유치원, 학교 등 돌봄 기관의 휴원으로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국제이주와 포용사회센터는 코로나19가 가정 내 돌봄에 미친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2020년 6월 0-12세 자녀를 둔 전국 1,200여명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한국갤럽과 함께 1차 긴급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리고 2021년 3월에는 샘플수 전국 2016녕의 부모로 확대하고 지난 1년 동안의 경험에 관한 질문을 추가한 2차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 설문조사를 통해 재택근무여부, 재택근무 기간 동안의 자녀돌봄 경험,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동안 누가 주로 자녀를 돌보고 가사일을 담당했는지 등에 관한 폭넓은 정보를 수집했습니다.우리는 이같은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한국 사회에 존재하던 돌봄의 젠더 불평등이 코로나19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어떻게 심화되어 나타나는지, 가족돌봄휴가, 긴급돌봄과 같은 정부의 정책이 현장에서는 어떻게 받아들여졌으며 문제점은 무엇인지 등을 들여다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국제이주와 포용사회센터는 이같은 실증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어떠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지 등에 관한 대안을 모색해 나가는 작업을 지속해 나가고자 합니다.
보고서
ㆍ
How do Older Adults Spend Their Time? Gender Gaps and Educational Gradients in Time Use in East Asian and Western Countries
2021 Man-Yee Kan, Muzhi Zhou, Daniela Veronica Negraia, Kamila Kolpashnikova, Ekaterina Hertog, Shohel Yoda & Jiweon JunTitle: How do Older Adults Spend Their Time? Gender Gaps and Educational Gradients in Time Use in East Asian and Western Countries (https://doi.org/10.1007/s12062-021-09345-3)Language: EnglishPublishing Date: July 2021(Accepted)Abstract: This study is the first to document how older adults in East Asian and Western societies spend their time, across four key dimensions of daily life, by respondent's gender and education level. To do this, we undertook a pioneering effort and harmonized cross-sectional time-use data from East Asian countries (China, Japan, South Korea, Taiwan) with data from Multinational Time Use Study (Canada, Denmark, Finland, France, Italy, The Netherlands, Norway, Spain,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to which we refer as Western countries), collected between 2000 and 2015. Findings from bivariate and multivariate models suggest that the daily time budgets of East Asian older adults are different from their counterparts in most Western countries. Specifically, gender gaps in domestic work, leisure, and sleep time were larger in East Asian contexts, than in Western countries. Gender gaps in paid work were larger in China compared to all other regions. Higher levels were associated with less paid work, more leisure, and less sleep time in East Asian countries, while in Western countries they were associated with more paid work, less domestic work, and less sleep. Interestingly, Italy and Spain, two Southern European welfare regimes, shared more similarities with East Asian countries than with other Western countries. We Interpret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population aging research and welfare policies.
학술논문
ㆍ
Impacts of COVID-19 on parents with small children in South Korea: survey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2022 Ito Peng, Jiweon JunTitle: Impacts of COVID-19 on parents with small children in South Korea: survey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Language: English Source: International Journal of Care and CaringPublishing Institution: Policy PressPublishing Date: January 2022Abstract: The COVID-19 pandemic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are and care work, and exposed pre-existing inequalities. Our survey of the impacts of COVID-19 on parents with small children in South Korea reveals that mothers were much more likely to bear the increased burden of childcare than fathers, which, in turn, had direct and negative impacts on their well-being. We discuss how South Korea’s dualised labour market, gender-biased employment practice, social norms about childcare, and instrumental approach to family and care policies may have contributed to the persistent unequal distribution of unpaid care work within households and gender inequality.Read Report (Click)
학술논문
ㆍ
The Toll and Reward of Family Caregiving: Eldercare in South Korea
2021 Catherine Hensley, Jiweon Jun, Elizabeth M.King Title: The Toll and Reward of Family Caregiving: Eldercare in South Korea (CWE-GAM Working Paper Series: 21-08) Language: EnglishPublishing Institution: American University Publishing Date: August 2021
보고서
ㆍ
한국사회에서 대학주도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대학별 현황과 난민 사례를 중심으로
2021 최주만, 김호원, 김세정, 이다영, 박도현 인용: 최주만, 김호원, 김세정, 이다영, 박도현. 2021. 한국사회에서 대학주도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대학별 현황과 난민 사례를 중심으로(The Necessity of University-led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South Korea: Based on Field Research on Refugee and Universities in South Korea). 서울대학교 국제이주와포용사회센터: 21-12. DOI: https://doi.org/10.23059/refugee 언어: 영어발행기관: CTMS 발행일: 2021. 12소개: 본 연구보고서는 국내 난민들의 대학사회 내 통합에 대한 실태 파악과 현황 진단을 목표로 한다. 크게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제 1장은 유럽 사례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난민 재정착을 위한 기본권 보장과 관련된 대학기관의 역할을 조명한다. 제 2장은 국내 대학기관의 난민 통합 정책 분석과 일부 난민의 사례를 통해 한국 대학이 난민의 사회통합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제 3장은 대학사회 내 난민 통합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적 제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일단락된다. 이를 통해 이 연구보고서는 난민 쟁점을 둘러싼 한국사회, 특히 대학의 통합교육의 현황과 향후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다.
보고서
ㆍ
<가족인구학과 가족법> 세계인구총회(IUSSP) 웨비나 발표
2020 문현아 인용: 문현아, “한국의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 형성: 1958- 2005 가족법 변화를 통해 본 법적 지위와 사회적 의미”, 2020 세계인구총회 웨비나 시리즈 <가족인구학과 가족법>언어: 한국어학회: 2020 세계인구총회 웨비나 시리즈 <가족인구학과 가족법>발행일: 2020. 12. 09
발표
ㆍ
<21세기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인구학적 과제와 전망> 2020 후기 한국인구학회 학술대회 발표
2020 전지원인용: 전지원, 사회적 거리두기가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미친 영향: <코로나19와 한국의 아동돌봄>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2020 후기 한국인구학회 학술대회언어: 한국어학회: 2020 후기 한국인구학회 학술대회 <21세기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인구학적 과제와 전망>발행일: 2020. 12. 04
발표
ㆍ
<인구변동과 젠더의 미래> 한국여성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2020 문현아 인용: 문현아, <돌봄의 세대간 재분배와 젠더관계의 미래>, 한국여성학회 추계학술대회언어: 한국어학회: 한국여성학회 2020 추계학술대회 “고령화·가족변동 시대, 돌봄의 재구성” 세션발행일: 2020. 11. 14
발표
ㆍ
이주 아동돌봄노동자의 도입과 자격 인증제도 가능성에 대한 전망
2021 문현아 인용: 문현아, 이주 아동돌봄노동자의 도입과 자격 인증제도 가능성에 대한 전망, 한국인구학회 2021년 후기학술대회 기획세션 <인구 절벽의 시대, 한국 사회의 포용적인 새로운 이주 정책의 방향 모색>언어: 한국어학회: 한국인구학회 2021년 후기학술대회 기획세션 <인구 절벽의 시대, 한국 사회의 포용적인 새로운 이주 정책의 방향 모색>발행일: 2021. 11. 27
발표
ㆍ
1
2
3
4
»
마지막
전체
보고서
학술논문
발표
코로나19시기 한국사회 이주여성의 삶을 살펴보다
2022년 3월 현재 코로나19는 초기의 충격과 피해와는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어가는 양상이다. 이 묶음집은 2020년 코로나19가 시작되던 시기 한국사회에서 이주민, 특히 이주여성들이 겪은 어려움과 실태를 정리한 내용을 4회에 걸쳐 담은 내용의 종합본이다. 마스크 구입대란에서부터 재난지원금에서 배제되었던 실상(1회), 돌봄위기와 더불어 동포 이주여성들이 겪은 어려움(2회), 상대적으로 지원을 받으리라 기대되었던 결혼이주여성들이 처한 또다른 측면의 실상(3회), 난민이나 미등록 이주여성들이 경험한 코로나19의 위기(4회)를 다루었다. 작성자: 문현아, 허오영숙원문언어: 한글발행일: 2022. 03
보고서
ㆍ
코로나19와 한국의 아동돌봄 설문조사 관련 자료
코로나19와 한국의 아동돌봄 설문조사 관련 자료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각 가정의 돌봄 부담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특히, 유치원, 학교 등 돌봄 기관의 휴원으로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국제이주와 포용사회센터는 코로나19가 가정 내 돌봄에 미친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2020년 6월 0-12세 자녀를 둔 전국 1,200여명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한국갤럽과 함께 1차 긴급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리고 2021년 3월에는 샘플수 전국 2016녕의 부모로 확대하고 지난 1년 동안의 경험에 관한 질문을 추가한 2차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 설문조사를 통해 재택근무여부, 재택근무 기간 동안의 자녀돌봄 경험,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동안 누가 주로 자녀를 돌보고 가사일을 담당했는지 등에 관한 폭넓은 정보를 수집했습니다.우리는 이같은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한국 사회에 존재하던 돌봄의 젠더 불평등이 코로나19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어떻게 심화되어 나타나는지, 가족돌봄휴가, 긴급돌봄과 같은 정부의 정책이 현장에서는 어떻게 받아들여졌으며 문제점은 무엇인지 등을 들여다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국제이주와 포용사회센터는 이같은 실증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어떠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지 등에 관한 대안을 모색해 나가는 작업을 지속해 나가고자 합니다.
보고서
ㆍ
How do Older Adults Spend Their Time? Gender Gaps and Educational Gradients in Time Use in East Asian and Western Countries
2021 Man-Yee Kan, Muzhi Zhou, Daniela Veronica Negraia, Kamila Kolpashnikova, Ekaterina Hertog, Shohel Yoda & Jiweon JunTitle: How do Older Adults Spend Their Time? Gender Gaps and Educational Gradients in Time Use in East Asian and Western Countries (https://doi.org/10.1007/s12062-021-09345-3)Language: EnglishPublishing Date: July 2021(Accepted)Abstract: This study is the first to document how older adults in East Asian and Western societies spend their time, across four key dimensions of daily life, by respondent's gender and education level. To do this, we undertook a pioneering effort and harmonized cross-sectional time-use data from East Asian countries (China, Japan, South Korea, Taiwan) with data from Multinational Time Use Study (Canada, Denmark, Finland, France, Italy, The Netherlands, Norway, Spain,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to which we refer as Western countries), collected between 2000 and 2015. Findings from bivariate and multivariate models suggest that the daily time budgets of East Asian older adults are different from their counterparts in most Western countries. Specifically, gender gaps in domestic work, leisure, and sleep time were larger in East Asian contexts, than in Western countries. Gender gaps in paid work were larger in China compared to all other regions. Higher levels were associated with less paid work, more leisure, and less sleep time in East Asian countries, while in Western countries they were associated with more paid work, less domestic work, and less sleep. Interestingly, Italy and Spain, two Southern European welfare regimes, shared more similarities with East Asian countries than with other Western countries. We Interpret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population aging research and welfare policies.
학술논문
ㆍ
Impacts of COVID-19 on parents with small children in South Korea: survey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2022 Ito Peng, Jiweon JunTitle: Impacts of COVID-19 on parents with small children in South Korea: survey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Language: English Source: International Journal of Care and CaringPublishing Institution: Policy PressPublishing Date: January 2022Abstract: The COVID-19 pandemic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are and care work, and exposed pre-existing inequalities. Our survey of the impacts of COVID-19 on parents with small children in South Korea reveals that mothers were much more likely to bear the increased burden of childcare than fathers, which, in turn, had direct and negative impacts on their well-being. We discuss how South Korea’s dualised labour market, gender-biased employment practice, social norms about childcare, and instrumental approach to family and care policies may have contributed to the persistent unequal distribution of unpaid care work within households and gender inequality.Read Report (Click)
학술논문
ㆍ
The Toll and Reward of Family Caregiving: Eldercare in South Korea
2021 Catherine Hensley, Jiweon Jun, Elizabeth M.King Title: The Toll and Reward of Family Caregiving: Eldercare in South Korea (CWE-GAM Working Paper Series: 21-08) Language: EnglishPublishing Institution: American University Publishing Date: August 2021
보고서
ㆍ
한국사회에서 대학주도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대학별 현황과 난민 사례를 중심으로
2021 최주만, 김호원, 김세정, 이다영, 박도현 인용: 최주만, 김호원, 김세정, 이다영, 박도현. 2021. 한국사회에서 대학주도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대학별 현황과 난민 사례를 중심으로(The Necessity of University-led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South Korea: Based on Field Research on Refugee and Universities in South Korea). 서울대학교 국제이주와포용사회센터: 21-12. DOI: https://doi.org/10.23059/refugee 언어: 영어발행기관: CTMS 발행일: 2021. 12소개: 본 연구보고서는 국내 난민들의 대학사회 내 통합에 대한 실태 파악과 현황 진단을 목표로 한다. 크게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제 1장은 유럽 사례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난민 재정착을 위한 기본권 보장과 관련된 대학기관의 역할을 조명한다. 제 2장은 국내 대학기관의 난민 통합 정책 분석과 일부 난민의 사례를 통해 한국 대학이 난민의 사회통합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제 3장은 대학사회 내 난민 통합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적 제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일단락된다. 이를 통해 이 연구보고서는 난민 쟁점을 둘러싼 한국사회, 특히 대학의 통합교육의 현황과 향후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다.
보고서
ㆍ
<가족인구학과 가족법> 세계인구총회(IUSSP) 웨비나 발표
2020 문현아 인용: 문현아, “한국의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 형성: 1958- 2005 가족법 변화를 통해 본 법적 지위와 사회적 의미”, 2020 세계인구총회 웨비나 시리즈 <가족인구학과 가족법>언어: 한국어학회: 2020 세계인구총회 웨비나 시리즈 <가족인구학과 가족법>발행일: 2020. 12. 09
발표
ㆍ
<21세기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인구학적 과제와 전망> 2020 후기 한국인구학회 학술대회 발표
2020 전지원인용: 전지원, 사회적 거리두기가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미친 영향: <코로나19와 한국의 아동돌봄>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2020 후기 한국인구학회 학술대회언어: 한국어학회: 2020 후기 한국인구학회 학술대회 <21세기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인구학적 과제와 전망>발행일: 2020. 12. 04
발표
ㆍ
<인구변동과 젠더의 미래> 한국여성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2020 문현아 인용: 문현아, <돌봄의 세대간 재분배와 젠더관계의 미래>, 한국여성학회 추계학술대회언어: 한국어학회: 한국여성학회 2020 추계학술대회 “고령화·가족변동 시대, 돌봄의 재구성” 세션발행일: 2020. 11. 14
발표
ㆍ
이주 아동돌봄노동자의 도입과 자격 인증제도 가능성에 대한 전망
2021 문현아 인용: 문현아, 이주 아동돌봄노동자의 도입과 자격 인증제도 가능성에 대한 전망, 한국인구학회 2021년 후기학술대회 기획세션 <인구 절벽의 시대, 한국 사회의 포용적인 새로운 이주 정책의 방향 모색>언어: 한국어학회: 한국인구학회 2021년 후기학술대회 기획세션 <인구 절벽의 시대, 한국 사회의 포용적인 새로운 이주 정책의 방향 모색>발행일: 2021. 11. 27
발표
ㆍ
1
2
3
4
»
마지막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