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학술자료

/자료/학술자료
보고서
2021차승은인용: 차승은. 2021. "노인 재가돌봄 상황에서 공식돌봄서비스는 어떻게 활용되나?: 가족주돌봄제공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44(3): pp. 23~42. DOI: 10.31693/KJPS.2021.09.44.3.23언어: 한국어발행기관: 한국인구학회발행일: 2021. 09키워드: 노인재가돌봄서비스, 공식돌봄서비스, 공식돌봄서비스활용시간, 노인의 기능제한, 가족돌봄, 주돌봄자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이 노인재가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노인을 돌보는 가족이 현재 공식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으며,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량은 어떤 요인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여부와 활용시간을 종속변수로 하는 분석을 시도하였다. 2018년 한국 노인 및 아동돌봄 가족조사 자료의 499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여부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노인의 기능제한, 주돌봄자의 돌봄기간과 돌봄선호시간량, 다른 가족원의 경제적 도움과, 다른 가족원의 돌봄분담 기여도이었다. 공식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에서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주돌봄자가 여성인 경우, 나이가 어린 경우, 그리고 주돌봄자의 실제돌봄시간이 길수록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이 짧았다. 즉 가구의 돌봄가용력이 존재할 경우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이 제한되는 상황이다. 그에 비해, 다른 가족원의 경제적 돌봄지원이 존재하면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은 길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돌봄이 공식돌봄서비스와 공조하고 있는 가족의 맥락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가족에 의한 비공식적인 돌봄이 공식돌봄과 조율되는 과정과 맥락을 이해하는 데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학술논문
2021문현아인용: 문현아. 2021.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 모색: 남성의 가족돌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DOI: 10.30719/JKWS.2021.09.37.3.33언어: 한국어 발행기관: 한국여성학회발행일: 2021. 09. 30초록:   이 논문은 가족관계 내에서 아동과 노인을 돌보며 돌봄을 실천하는 남성들의 경험을 토대로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돌보는 남성은 아직까지 소수에 불과하다. 소수에 불과하지만 돌봄에 참여하는 남성의 존재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개념에 균열을 내는 변화의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아동과 노인을 돌보는 남성의 경험을 분리하여 접근했던 것과 다르게 이 논문에서는 아동과 노인을 돌보는 남성들의 경험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대상에 초점을 맞춘 돌봄의 특성을 넘어 모두에 대한 관계적 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돌봄의 본질을 토대로 돌봄 경험을 토대로 한 새로운 남성성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지배적인 헤게모니 남성성에 대한 균열이 새롭게 돌보는 남성성으로 확대되어 기존의 남성성을 전복하고 새로운 남성성을 만들어낼지 여부는 아직은 지켜보아야 한다. 이 논문은 낙관적 기대 속에서 비판적 주의를 기울이며 돌보는 남성의 현실과 그 현실이 놓인 사회문화적 구조를 연결해 분석하면서 여성만이 돌보는 사회가 아닌 남성도 더불어, 나아가 모두에게 보장되는 돌보고 일하며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변화로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학술논문
보고서
2021차승은인용: 차승은. 2021. "노인 재가돌봄 상황에서 공식돌봄서비스는 어떻게 활용되나?: 가족주돌봄제공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44(3): pp. 23~42. DOI: 10.31693/KJPS.2021.09.44.3.23언어: 한국어발행기관: 한국인구학회발행일: 2021. 09키워드: 노인재가돌봄서비스, 공식돌봄서비스, 공식돌봄서비스활용시간, 노인의 기능제한, 가족돌봄, 주돌봄자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이 노인재가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노인을 돌보는 가족이 현재 공식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으며,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량은 어떤 요인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여부와 활용시간을 종속변수로 하는 분석을 시도하였다. 2018년 한국 노인 및 아동돌봄 가족조사 자료의 499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여부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노인의 기능제한, 주돌봄자의 돌봄기간과 돌봄선호시간량, 다른 가족원의 경제적 도움과, 다른 가족원의 돌봄분담 기여도이었다. 공식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에서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주돌봄자가 여성인 경우, 나이가 어린 경우, 그리고 주돌봄자의 실제돌봄시간이 길수록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이 짧았다. 즉 가구의 돌봄가용력이 존재할 경우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이 제한되는 상황이다. 그에 비해, 다른 가족원의 경제적 돌봄지원이 존재하면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은 길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돌봄이 공식돌봄서비스와 공조하고 있는 가족의 맥락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가족에 의한 비공식적인 돌봄이 공식돌봄과 조율되는 과정과 맥락을 이해하는 데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학술논문
2021문현아인용: 문현아. 2021.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 모색: 남성의 가족돌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DOI: 10.30719/JKWS.2021.09.37.3.33언어: 한국어 발행기관: 한국여성학회발행일: 2021. 09. 30초록:   이 논문은 가족관계 내에서 아동과 노인을 돌보며 돌봄을 실천하는 남성들의 경험을 토대로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돌보는 남성은 아직까지 소수에 불과하다. 소수에 불과하지만 돌봄에 참여하는 남성의 존재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개념에 균열을 내는 변화의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아동과 노인을 돌보는 남성의 경험을 분리하여 접근했던 것과 다르게 이 논문에서는 아동과 노인을 돌보는 남성들의 경험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대상에 초점을 맞춘 돌봄의 특성을 넘어 모두에 대한 관계적 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돌봄의 본질을 토대로 돌봄 경험을 토대로 한 새로운 남성성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지배적인 헤게모니 남성성에 대한 균열이 새롭게 돌보는 남성성으로 확대되어 기존의 남성성을 전복하고 새로운 남성성을 만들어낼지 여부는 아직은 지켜보아야 한다. 이 논문은 낙관적 기대 속에서 비판적 주의를 기울이며 돌보는 남성의 현실과 그 현실이 놓인 사회문화적 구조를 연결해 분석하면서 여성만이 돌보는 사회가 아닌 남성도 더불어, 나아가 모두에게 보장되는 돌보고 일하며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변화로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학술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