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CTMS초청세미나 시리즈 <희망의 씨앗: 포용사회를 향하여>
|
|
본 센터에서는 2025년 4월부터 6월까지 <희망의 씨앗: 포용사회를 향하여> 시리즈를 주최할 예정입니다.
이번 세미나 시리즈에서는 돌봄 노동, 이주민 노동, 그리고 포용적 경제와 같은 주요 의제들을 심도 있게 다루며, 이를 통해 보다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연사로 참여한 전문가들은 각자의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현행 정책의 한계를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며, 우리 사회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각과 해법을 제안할 예정입니다.
특히, 올해는 여러 사회적 갈등과 혼란 속에서 시작된 만큼, 포용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고민과 실천이 더욱 중요한 시점입니다. “희망의 씨앗”이라는 주제 아래, 우리는 변화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보다 평등하고 포용적인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합의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
|
CTMS 문현아 책임연구원, 한-중 젠더학술회의에서 발표
|
|
2025년 2월 11일 (화), 성공회대학교에서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와 중국 난카이대학교 사회학원, 성공회대학교 젠더연구소의 주최 (후원 : 한국연구재단) 로 제5차 한-중 젠더 국제회의가 “재생산과 젠더: 한-중 페미니즘의 교차와 이슈”라는 주제로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한국과 중국의 유수한 연구자가 참여한 가운데, 본 센터의 문현아 책임연구원이 제 1부 “재생산과 젠더” 에서 “청년세대의 돌봄과 젠더평등”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본 센터의 기타 구성원이 공저로 참여한 이 발표는 청년세대가 인구감소로 인한 문제들을 감당할 현재의 당사자이자, 지금보다 더 나은 미래를 구성해갈 수 있는 주체라는점에 주목하며, 돌봄을 둘러싼 여성성/남성성에 초점을 맞추어 생산/재생산으로 구분된 차별적 젠더규범의 관계를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습니다.
발표 후, 문현아 박사는 같은 세션의 우판 (중국 난카이대) 교수가 발표한 “양육 가정의 가족 회복탄력성: 개념, 측정 및 정책적 함의”에 토론자로도 발언하였습니다. 발표 원고들은 한/중 두 가지 버전으로 한국과 중국에서 책으로 출간 예정될 예정입니다.
|
|
CTMS 문현아 책임연구원, 여성연구소 융복합집담회 발표
|
|
|
본 센터의 문현아 책임연구원이 2025년 1월 16일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가 주최하는 융복합연구집담회 <저출산 대응정책과 돌봄윤리의 재구성>에서 발표자로 참여하였습니다.
“이주와 돌봄의 연결: 글로벌 돌봄사슬(GCC)인가, 초국적 돌봄순환(TCC)인가?” 라는 주제로 발표한 문현아 책임연구원은 공공재로서의 돌봄이 민영화되고 있는 현실과 함께, 글로벌 이주의 시대에서 돌봄을 젠더,이주 또 노동의 시점에서 분석하였습니다.
풀어야할 과제로 “이주 가사근로자 시범사업의 문제”를 언급하며, 구체적으로 가사사용인의 근로기준법 적용 예외와 함께 젠더차별, 인종차별의 심화 위험 등을 지적했습니다. 문현아 책임연구원은 특히 돌봄은 관계적 인간을 바탕으로 진행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초국적 존재와 이주민은 누구이고, 돌봄은 결국 무엇인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제기하였습니다.
|
|
|
서울대학교 국제이주와포용사회센터는 2024년 9월 9~10일 2024 International Care Conference on Korea's Demographic Crisis and Care Economy: <초저출생 위기 한국, 돌봄에서 길을 찾다: 젠더, 국제이주, 디지털, 공동체>를 개최하였습니다. 컨퍼런스 페이지에서는 국영문 프로그램, 관련 자료집과 주요 발표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CTMS - 말레이시아 푸트라대학교(UPM) MyAgeing®
공동 워크숍 시리즈 주최
|
|
|
서울대학교 국제이주와포용사회센터(CTMS) 연구팀은 2024년 11월 19일부터 21일까지 말레이시아 푸트라 대학교(UPM)의 MyAgeing® 연구소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CTMS - MyAgeing® Workshop Series,에 참여하였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세대 간 통합 돌봄과 고령화 이슈를 다루며, CTMS 연구팀의 은기수 센터장, 전지원 책임연구원, 문현아 책임연구원, 강민석 연구원, 연보라 연구원이 각 세션의 발표자 및 토론자로 참여하여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인구 고령화와 돌봄 경제에 대한 관점을 공유하고, 세대 간 연대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
이 워크숍 시리즈에는 다양한 분야와 직군에서 온 전문가, 연구자, 실무자, 정책 입안자 및 주요 이해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다학제적 관점에서 통합적인 논의를 이어갔습니다.
말레이시아와 한국의 출산율 저하와 기대수명 증가에 따른 돌봄 부담 증가와 이에 필요한 다층적 대응책이 주요 논의 주제로, 본 워크숍은 지속 가능한 돌봄 시스템 구축을 통해 세대 간 연대와 공동 책임 의식을 함양하고, 커뮤니티 내 노인 및 가족 친화적 정책을 개발하기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CTMS 문현아 책임연구원, 이화여대 아시아여성학센터 토론
|
|
|
문현아 서울대학교 국제이주와포용사회센터 책임연구원은 2024년 12월 7일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가 주최하는 <필리핀 가사관리사 시범사업, 무엇이 문제인가: 이주×돌봄×노동 담론의 급진적 재구성을 위한 페미니즘의 개입> 국제학술대회에 토론자로 참여하였습니다.
주요 토론자로 참여하여 돌봄 노동과 이주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이어간 문현아 책임연구원은, 본 학술대회에서 한국 내 인종과 젠더, 이주와 돌봄의 상호교차성을 심도있게 분석했습니다. 이번 학회는 글로벌 돌봄 사슬이 필리핀 여성들과 그 사회에 미친 구조적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젠더와 인종이 교차하는 비판적 정치 기획으로서 한국 사회 돌봄 담론을 재구성하고,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는 시도였습니다.
|
|
|
|
Copyright © 2021 Center for Transnational Migration and Social Inclusion, All rights reserved.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Bldg. 140 Rm. 307,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T +82.2.880.9220 F +82.2.879.1496 E ctms.snu@gmail.com
www.ctms.or.kr/en
|
|
If you no longer wish to receive these emails, you can unsubscribe from our mailing list.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