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News

Media News

Home/News/Media News

In the Press |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Reproduction and Gender: The Intersection and Issues of Korean-Chinese Feminism" to Be Held

PRESS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Reproduction and Gender: The Intersection and Issues of Korean-Chinese Feminism" to Be Held
[Faculty News, Jaeho Kim]


KakaoTalk_Photo_2025-02-14-17-27-48-001.jpeg


KakaoTalk_Photo_2025-02-14-17-27-48-002.jpeg






(교수신문) 김재호 기자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는 2009년부터 중국과 한국의 여성 연구자들의 교류를 추진하여 젠더 관점에서 한국과 중국이 번갈아 상호 교대로 학술회의를 기획하고 주관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제1차 한중 젠더회의는 2009년 한국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와 중국의 천진사범대학교 ‘젠더와 사회발전연구소’ 가 공동주관하여 서울에서 개최되었고 제2차 회의는 중국의 텐진에서 개최되었으며 2025년 2월 11일에 개최되는 제5차 회의는 서울에서 열리며 현재 동아시아연구소의 공동주관 파트너는 중국의 명문대인 난카이대학(南開) 사회학대학이다. 그간 양국의 학술교류 성과를 모아 단행본 <<한.중 여성 트랜스내셔널하게 읽기:  지식, 인구, 노동>> (한울)로 출간한 바 있으며 아래의 성과도 2025년 5월에 소명출판사에서 출간될 예정이다.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의 한-중 학술교류의 역사가 17년에 달하는 만큼, 중국 학자들의 한국사회에 대한 이해가 교류를 통해 날로 심화되었으며 압축성장을 해 온 양국의 산업화과정으로 인하여 공통 연구 영역이 날로 확장되고 있다.  한.중은 이미 저출생사회에 진입하여 ‘돌봄 위기’를 겪고 있으며 그 양상은 세대와 성별, 지역에 따라 공통점과 차이를 노정하고 있어 기존 정책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심각한 과제로 현상하고 있다. 이에 본 회의는 이러한 상황을 위기로 진단하고 발전적인 미래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제5차 회의 주제를 ‘재생산과 젠더-한.중 페미니즘의 교차와 이슈’로 정하였다. 

회의를 통해 ‘출생’과 ‘돌봄’에 대한 중국내 구체적인 정책, 현상, 운동 경험이 한국내에 공유될 것이며, 이러한 심도있는 접근은 본 회의가 의도하는 주요한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물은 오랜 교류의 축적을 통해 도달하게 된 소중하고 의미있는 성과로 상호 차감을 통해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미래 구상에 일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세션구성
이번 국제회의는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각각 ‘재생산과 젠더’ ‘한-중 페미니즘의 교차와 영 페미니즘’ ‘개혁과 젠더’주제가 다루어진다.  

제1부 재생산과 젠더에서는 중국 사회학계의 핵심 리더격인 난카이 대학 사회학과의 우판(吳帆)교수가 <가족 탄력성: 가족발전 역량을 확장하는 분석 프레임>을 발표하고 이에 상응하는 발표로 서울대 문현아 책임연구원(서울대)과 강민석(서울대). 조기현(청년돌봄커뮤니티 n인분). 이주현(세계은행 서울금융혁신센터). 은기수(서울대)의 공저인 <청년세대의 돌봄과 젠더평등>이 발표된다. 그리고 이 두 학자의 맞토론이 진행된다. 

세 번째 발표는 중국 산동대학 사회학과의 왕샹셴(王向賢)교수의 <중국 사회주의 집단화 시기의 출산 정책>이며 왕교수는 중국에서 ‘아버지 역할(부성, 남성성)’연구를 이끌고 있는 대표적 학자이다. 

제2부 한-중 페미니즘의 교차와 영 페미니즘에서는 난카이대학 사회학과의 두핑(杜平) 교수가 상하이대학의 천쟈(陳佳) 교수와 공저로 쓴 <은밀하지만 강력하게: 중국 도시 가정내 조부모세대의 권위자원이 세대간 공동양육에 끼친 영향>을 발표한다. 그리고 중국의 저명한 문학평론가인 베이징 사범대학의 짱리교수는 한국의 노벨상 수상자인 한 강의 작품을 포함하여 한국의 여성작가들이 중국내 수용양상과 영향을 발표한다. 한국 여성작가에 대한 중국학자의 분석은 20여 년 이상 쌓아온 양국 학술교류의 성과위에서 가능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깊고 수준도 높은 성과라 할 수 있다. 세 번째 발표자인 펑웬(馮媛)은 중국의 여권옹호와 반가정폭력 NGO인 ‘爲平’의 대표로 중국을 대표하는  40년 경력의 페미니스트 액티비스트로 2025년 영국 BBC가 뽑은 세계의 영향력 있는 100인으로 선정된 인물이다. 그는 <중국여성의 6不주장과 중국의 페미니즘 운동>을 발표하며 한국 여성들의 4非운동의 영향을 받은 중국의 영페미니스트 운동과 전체 여성운동을 소개할 것이다.  

제3부 개혁과 젠더에서는 1980년 이후 중국 사회의 ‘시장화’와 젠더의 문제를 노동과 모성, 그리고 총체적인 여성의 생존환경을 중심으로 다룬다. 김 란연구원(서울대)은 <중국 개혁개방 이후 모유수유 실천의 전개>를 발표하며, 본 회의를 기획한 성공회대연구소의 김미란교수는 <개혁시기 ‘먼저 부자가 되라(先富論)’와 젠더: 혼내외 여성의 생존조건과 ‘자유>를 발표한다. 시장화개혁 이후 중국인들의 사유의 변화를 젠더적 관점에서 심도있게 분석한 성과가 3부 세션에서 발표될 것이다. 

In the Press |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Reproduction and Gender: The Intersection and Issues of Korean-Chinese Feminism" to Be Held

PRESS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Reproduction and Gender: The Intersection and Issues of Korean-Chinese Feminism" to Be Held
[Faculty News, Jaeho Kim]


KakaoTalk_Photo_2025-02-14-17-27-48-001.jpeg


KakaoTalk_Photo_2025-02-14-17-27-48-002.jpeg






(교수신문) 김재호 기자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는 2009년부터 중국과 한국의 여성 연구자들의 교류를 추진하여 젠더 관점에서 한국과 중국이 번갈아 상호 교대로 학술회의를 기획하고 주관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제1차 한중 젠더회의는 2009년 한국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와 중국의 천진사범대학교 ‘젠더와 사회발전연구소’ 가 공동주관하여 서울에서 개최되었고 제2차 회의는 중국의 텐진에서 개최되었으며 2025년 2월 11일에 개최되는 제5차 회의는 서울에서 열리며 현재 동아시아연구소의 공동주관 파트너는 중국의 명문대인 난카이대학(南開) 사회학대학이다. 그간 양국의 학술교류 성과를 모아 단행본 <<한.중 여성 트랜스내셔널하게 읽기:  지식, 인구, 노동>> (한울)로 출간한 바 있으며 아래의 성과도 2025년 5월에 소명출판사에서 출간될 예정이다.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의 한-중 학술교류의 역사가 17년에 달하는 만큼, 중국 학자들의 한국사회에 대한 이해가 교류를 통해 날로 심화되었으며 압축성장을 해 온 양국의 산업화과정으로 인하여 공통 연구 영역이 날로 확장되고 있다.  한.중은 이미 저출생사회에 진입하여 ‘돌봄 위기’를 겪고 있으며 그 양상은 세대와 성별, 지역에 따라 공통점과 차이를 노정하고 있어 기존 정책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심각한 과제로 현상하고 있다. 이에 본 회의는 이러한 상황을 위기로 진단하고 발전적인 미래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제5차 회의 주제를 ‘재생산과 젠더-한.중 페미니즘의 교차와 이슈’로 정하였다. 

회의를 통해 ‘출생’과 ‘돌봄’에 대한 중국내 구체적인 정책, 현상, 운동 경험이 한국내에 공유될 것이며, 이러한 심도있는 접근은 본 회의가 의도하는 주요한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물은 오랜 교류의 축적을 통해 도달하게 된 소중하고 의미있는 성과로 상호 차감을 통해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미래 구상에 일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세션구성
이번 국제회의는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각각 ‘재생산과 젠더’ ‘한-중 페미니즘의 교차와 영 페미니즘’ ‘개혁과 젠더’주제가 다루어진다.  

제1부 재생산과 젠더에서는 중국 사회학계의 핵심 리더격인 난카이 대학 사회학과의 우판(吳帆)교수가 <가족 탄력성: 가족발전 역량을 확장하는 분석 프레임>을 발표하고 이에 상응하는 발표로 서울대 문현아 책임연구원(서울대)과 강민석(서울대). 조기현(청년돌봄커뮤니티 n인분). 이주현(세계은행 서울금융혁신센터). 은기수(서울대)의 공저인 <청년세대의 돌봄과 젠더평등>이 발표된다. 그리고 이 두 학자의 맞토론이 진행된다. 

세 번째 발표는 중국 산동대학 사회학과의 왕샹셴(王向賢)교수의 <중국 사회주의 집단화 시기의 출산 정책>이며 왕교수는 중국에서 ‘아버지 역할(부성, 남성성)’연구를 이끌고 있는 대표적 학자이다. 

제2부 한-중 페미니즘의 교차와 영 페미니즘에서는 난카이대학 사회학과의 두핑(杜平) 교수가 상하이대학의 천쟈(陳佳) 교수와 공저로 쓴 <은밀하지만 강력하게: 중국 도시 가정내 조부모세대의 권위자원이 세대간 공동양육에 끼친 영향>을 발표한다. 그리고 중국의 저명한 문학평론가인 베이징 사범대학의 짱리교수는 한국의 노벨상 수상자인 한 강의 작품을 포함하여 한국의 여성작가들이 중국내 수용양상과 영향을 발표한다. 한국 여성작가에 대한 중국학자의 분석은 20여 년 이상 쌓아온 양국 학술교류의 성과위에서 가능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깊고 수준도 높은 성과라 할 수 있다. 세 번째 발표자인 펑웬(馮媛)은 중국의 여권옹호와 반가정폭력 NGO인 ‘爲平’의 대표로 중국을 대표하는  40년 경력의 페미니스트 액티비스트로 2025년 영국 BBC가 뽑은 세계의 영향력 있는 100인으로 선정된 인물이다. 그는 <중국여성의 6不주장과 중국의 페미니즘 운동>을 발표하며 한국 여성들의 4非운동의 영향을 받은 중국의 영페미니스트 운동과 전체 여성운동을 소개할 것이다.  

제3부 개혁과 젠더에서는 1980년 이후 중국 사회의 ‘시장화’와 젠더의 문제를 노동과 모성, 그리고 총체적인 여성의 생존환경을 중심으로 다룬다. 김 란연구원(서울대)은 <중국 개혁개방 이후 모유수유 실천의 전개>를 발표하며, 본 회의를 기획한 성공회대연구소의 김미란교수는 <개혁시기 ‘먼저 부자가 되라(先富論)’와 젠더: 혼내외 여성의 생존조건과 ‘자유>를 발표한다. 시장화개혁 이후 중국인들의 사유의 변화를 젠더적 관점에서 심도있게 분석한 성과가 3부 세션에서 발표될 것이다.